CDS프리미엄 한국 중국 일본 동향

CDS 프리미엄이란, 
Credit Default Swap (신용 디폴트 스왑)의 약자이며 
채권에 대한 부도 리스크를 거래하는 파생상품입니다. 



국가에서 발행하는 국채도 
특정상황에서는 부도 가능성이 있는데요  
채권자 입장에서는 이런 부도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 않기 마련이니 
리스크를 분리하여 거래하는 개념이지요. 
부도 위험이 클수록 프리미엄 값도 올라갑니다.

채권이나 대출이 부도가 났을 경우 
CDS는 이에 대한 원금 상환을 보장해주는 대신 
보험금 성격으로 수수료를 받는 구조입니다. 
CDS 스프레드라고도 불리우지요.

최근 한국 국채의 경우 
남북화해모드가 조성되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감소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CDS프리미엄이 최저치를 경신했다는 뉴스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얼마전 대북 특사 파견 이벤트에도 
외평채 5년물 CDS프리미엄이 0.58bp 하락한 
46.69bp를 기록했다고 뉴스가 보도 되었지요. 
반면 대북 리스크가 커지는 시점에는 
70bp 대까지 오르기도 했답니다. 
지난 주에는 41.68bp까지 하락하였습니다. 

한편 리스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는 
CDS도 덩달아 증가하게 됩니다.



남부 유럽 경제가 한참 어려울 당시 
이탈리아나 스페인의 CDS프리미엄이 300bps에 육박하기도 했으며
그리스의 경우에는 2000bp 이상으로 솟구치기도 했었습니다.  
일본의 최근 CDS프리미엄은 25bps 내외를 기록중입니다. 

CDS프리미엄은 채권이나 대출에 대하여
손실 위험을 알려주는 지표이지만
국채에 적용하였을 경우 국가부도 위험을 알려주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최근 한국, 중국, 일본의 CDS 프리미엄 추이는 
3국 모두 점차 하향하고 있는 추세인데요 
특히 중국보다 높았던 한국의 리스크가 
올해를 기점으로 중국 밑으로 떨어진 것이 인상적입니다. 





달러 인덱스란 미국에서 발행한 달러의 상대가치를 
타 화폐 바스켓과 비교하여 나타낸 수치입니다 



흔히 특정국가의 화폐가치를 나타낼 때 
기축통화인 달러와 많이 비교를 하는데요 
정작 달러의 가치를 비교할만한 기축통화가 마땅치 않으니 
6개국 통화를 각 통화의 경제규모대로 비중을 주고 혼합하여 
달러와의 비교를 위한 바스켓을 만든 것이지요 

바스켓에 포함된 통화의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로화: 57.6%

엔화: 13.6%

파운드화: 11.9% 

캐나다 달러: 9.1%

스웨덴 크로나: 4.2%

스위스 프랑: 3.6% 


달러인덱스는 1973년 브레튼 우드 시스템으로 정립되어 

100을 기준점으로 시작으로 하였습니다. 

1985년 라틴아메리카 부채 위기때 최고점인 164.72를 찍었고 

미국발 금융위기가 촉발되었던 2008년 70.698 최저점을 찍었지요. 




달러인덱스가 상승한다는 말은 

달러의 가치가 타 화폐에 비해 오른다는 의미입니다. 

요즘처럼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는 경우 

달러인덱스가 오를 수도 있지요 

반면 미국이 정책적으로 약달러를 밀어붙인다면 

달러인덱스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데요 

미국 공화당이나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기조는 

대체로 약달러를 선호합니다. 


미국의 입장과 무관하게 

세계경제 위기 상황이 발생하거나 

공포심리가 오르는 경우 달러인덱스가 오르게 됩니다. 

안전자산이라고 여겨지는 달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이지요. 


비교통화인 유로, 엔화, 파운드화 등의 가치가 떨어져도 

달러인덱스는 상승하게 됩니다. 

특히 유로화의 비중이 가장 높기 때문에 

유럽 경제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입니다. 

유로화가 강세가 되면 당연히 달러인덱스도 떨어지겠지요. 


2017년 초 100을 넘었던 달러인덱스는 

지난 한해 내내 하락을 이어와 

달러인덱스 90 언저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7년 배당기준일

어느새 배당 시즌이 돌아왔네요
해마다 배당금을 수령하지만
배당기준일이 언제인지는 늘 헷갈립니다.




그도 그럴것이 배당을 받는 기준이 되는 날짜가
해마다 동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결산 날짜도 다릅니다.

국내 대부분의 주식회사는 12월 결산법이지만
일부 금융 기업들은
3월 결산 법인인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중간배당을 시행하는 기업은
6월말에 중간결산을 한번 하게 되지요.

대부분의 기업이 해당하는 12월 결산 기준으로
2017년 배당기준일은 언제일까요?
언제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내년에 배당금을 수령할 수 있을까요?



주식시장은 주말에는 열리지 않으니
올해 마지막 평일은 12월 29일 금요일입니다.
하지만 마지막 날짜에는 주식시장이
개장하지 않는다고 약속되어 있지요.
이 날짜가 바로 배당기준일입니다.




또한 마지막 거래 가능한 날짜는

12월 28일 목요일입니다.
마지막으로 거래가 가능하다고 해서
이 날 주식을 매수하게 되면
배당을 받을 자격을 얻지 못하게 됩니다.
실제로 주식을 매수한 날짜보다 2일이 지나야
주식에 대한 권리를 얻게 되기 때문이지요.
왜 주식을 산 당일에 권리를 주지 않냐? 하면
그건 그냥 그렇게 약속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을 계약할 때에는
계약하고나서 1달 정도 지나야
잔금이 치뤄지고 실제 권리도 넘어가게 되는 것처럼
주식은 그 날짜가 2일로 약속되어 있는 것이지요.

아무튼 주식을 12월 26일 화요일에는 매수해서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을 받을 자격이 생깁니다.

배당금 지급하는 정확한 날짜는
주주총회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지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아마 내년 3월이나 되야
하나 둘 씩 배당 지급하는 기업이 나오게 되겠지요.

2017년 배당기준일은 12월 29일
하지만 배당을 받고 싶다면 12월 26일에
반드시 매수하거나 보유하고 있을 것.
꼭 기억하세요~





코픽스 금리 의미와 조회하는 방법


최근 이슈가 되는 가계부채,
그 중에서도 주택담보대출의 관련 뉴스에서
'코픽스 금리가 올랐다' 는 식의 표현,
많이들 보실 것 같아요.




가계부채 문제가 자주 거론되는 상황이라
그 기준이 되는 코픽스 금리 상승 이슈는
매우 민감한 문제인데요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게 되면 

코픽스금리에 따라 변동한다는 얘기를 자주 듣게 됩니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적용되는 금리는

'기준금리+가산금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기준금리가 코픽스냐, 코리보냐, CD금리냐

나눠지게 되는 것이고 여기에 은행 지점에 따라,

혹은 고객의 신용등급에 따라

가산금리가 결정되게 되는 것이지요.

과연 코픽스금리(COFIX)란 무엇일까요?



코픽스 금리란 Cost of Funds Index의 약자로
국내 8개 은행들이 제공한
'자금 조달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지수입니다.
즉 은행에서 자금을 조달하는데 들어가는

원가에 해당하는 비용이지요.


은행에서도 고객들을 상대로 대출을 해 줄 때

어디에선가 돈을 조달해야 하는데요

고객들이 은행에 맡기는 예금이나 적금

또는 부금이나 양도성 예금증서 등이

은행 입장에서는 돈을 조달하는 공급원이 되는 것이고,

이런 상품들을 예치하고 고객들에게 지급하는 이자가

은행 입장에서는 조달비용이 되는 것입니다.

바로 이 이자를 평균 낸 값이

코픽스, 즉 자금조달비용지수입니다.




코픽스는 매월 15일 은행연합회에서 발표를 합니다.

시중 8개 은행의 조달비용을 평균낸 값이므로

어느 은행이나 동일합니다.

은행마다 금리가 차이나는 이유는

기준금리인 코픽스 금리 때문이 아닌

'가산금리' 때문이지요.


코픽스는 다시 신규 코픽스와

잔액기준 코픽스로 나눠지게 됩니다.

신규 코픽스는 최근 한달간의 조달비용을 가중평균한 값이고

잔액기준 코픽스는 전월 말일까지 총 쌓아둔

대출 가능 상품들의 금리를 가중평균한 값이지요.

따라서 신규코픽스가 보다 최근 금리를 반영하는 값입니다.



코픽스금리는 전국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 중 신규 코픽스 금리의 경우

네이버에 '코픽스'라고만 검색해도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답니다.





2017년 기준중위소득, 중위소득의 의미


중위소득이란 총가구를 소득순으로 줄세운 다음

정확히 가운데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중산층을 나타내는 가장 좋은 지표는?




평균소득과 중위소득은 명백히 다른 개념인데

총 소득을 가구 수대로 나눈 값이 평균소득입니다. 

평균소득만을 활용하게 되면

중산층의 소득 수준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습니다.


총소득을 합산할 때

압도적으로 고소득자가 포함되면

분자의 값을 훌쩍 키워버리게 되면서

평균소득 값을 끌어올리게 됩니다.  


네덜란드의 경제학지안 '얀 펜'이 주장한

이른바 '난쟁이와 거인의 행렬'

소득을 키에 비유하여

소득 순서대로 사람들이 1시간 동안 행진하면

행진 시간중 대부분은 난장이들이 차지하고

행진의 끝자락에 들어서야

거인들이 나타난다는 것이지요. 


따라서 빈부격차가 심할 수록

평균소득과 중위소득의 차이는 벌어지게 됩니다.

중위소득은 대상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성별, 연령별, 가구원수별로

다양하게 집계할 수 있습니다.




기준중위소득이란?


급여의 기준에 활용하기 위해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입니다.

그러니까 중위소득 중에서도

정부정책에 유용한 활용을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집계하여 고시하는 금액인 것이지요.


2017년 우리나라의 기준중위소득은

1인가구 - 1,652,931원

2인가구 - 2,814,449원

3인가구 - 3,640,915원

4인가구 - 4,467,380원

5인가구 - 5,293,845원

6인가구 - 6,120,311원

7인가구 - 6,946,776원


이미 2018년 기준중위소득도

발표가 된 상태이며

이 기준을 근거로

복지정책 및 부동산정책, 조세정책이 시행되므로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내 보수가 얼마인지는
건강보험 사이트에 들어가면

평균보수월액으로 조회 가능합니다.





미국 간호사 연봉 vs 한국 간호사 연봉


최근 들어 국외 진출을 희망하는

의사 및 간호사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일본으로 진출하는 의사가 늘어나고

미국으로 진출하는 간호사의 수도 증가하고 있지요.




대한민국은 인적 자원이 풍부한 나라이지만

한편으로는 다른 자원이 없기 때문에

고급인력들이 상대적으로 홀대받는 것 같습니다.


특히 간호사 직종은 한국에서의 대우와

서구 선진국에서의 대우가

큰 차이가 나는 직종 중 하나인데요

주로 호주 및 미국으로 진출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간호사 연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해당 포스팅은 간호사 즉 RN(Registered nurse)에 관한 글입니다.





1. 미국 간호사 연봉


미국 노동부 노동 통계국에서 발표한 데이터입니다.

2016년 기준 연봉 중앙값은 $68,450

시급으로는 $32.91


한편 그 외에도 다양한 기관에서

주마다 다른 간호사 연봉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데 

payscale.com에서 구체적인 수치를 제공하여 인용해보겠습니다.


시급은 $22~40 정도이며 중앙값은 $28.88

이 사이트에서는 팁과 커미션,

보너스를 따로 구분해두었네요

총 연봉은 $46,000~87,000 사이로

비교적 넓은 범위를 가지게 됩니다.


이는 주마다 임금편차가 크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주별 미국 간호사 연봉은

nursejournal.org 에서

indeed.com을 비롯한 다양한 사이트의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하였습니다.


비교적 높은 연봉을 제공하는 주는 뉴욕 주로

$80,000대에 달합니다.

한편 알래스카의 경우 비교적 낮은 편이라

$50,000에도 미치지 못하네요.


위 표는 간호사 업무별로 연봉이 다양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심도자 검사실과 외래 클리닉 간호사의 연봉 차이는

$14,000 정도로 차이가 나는군요.






2. 한국 간호사 연봉

한국의 경우는 어떨까요?

다른 직장과 마찬가지로

어느 병원에 근무하느냐에 따라

간호사의 연봉 차이도 크게 벌어지는데요


서울아산병원, 삼성병원을 비롯해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같은 대형 대학병원은

그 중에서도 연봉이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상여금 포함 초봉이 세전 4,000만원 내외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여타 대학병원들은 3,500만원 내외

규모가 비교적 작은 종합병원들은 더 적어

2,500-3,000만원 정도로 통계가 잡히고 있습니다.


지역과 병원마다 편차가 크고

간호사 업무에 따른 (수술실, 중환자실 등)

편차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올해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한국 간호사 평균 연봉은 3634만원이며

상위 25%는 4150만원, 하위 25% 3120만원

연봉으로 알려졌습니다.


많은 한국 간호사들이 미국 진출을 준비하는 이유는

단지 높은 연봉을 좇기 때문은 아니라고 합니다.

강압적인 병원 문화,

가혹한 위계질서,

열악한 근무 환경

등의 원인들도 한국을 떠나는 이유들로 조사됩니다.


의료인력 부족을 앉아서 푸념만 할것이 아니라

국외 유출이 되는 원인을 파악하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입니다.





2017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 정리

 

"표준공시지가"란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세금을 매길 때

기준이 되는 시세입니다.




공시지가는 전국적으로 50만 필지가 있으며

국토교통부 장관이 조사평가하여 공시합니다.

공시지가가 결정되고 나면 이를 기준으로 하여

전국의 3200만 필지에 대한 "개별공시지가"가 산출됩니다.

 

이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양도세나 상속세, 증여세 같은 세금을 부과하게 되므로

개인 부동산 거래시 공시지가 조회방법을 알고 있으면 좋습니다.

 

2017년 개별공시지가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므로

어렵지 않게 따라할 수 있어요.

 

먼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우측 상단 '개별공시지가' 클릭~

 

각 시군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개별공시지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지역을 클릭해주세요.

 




서울쪽으로 조회해볼까요?

 

조회는 지번과 도로명주소 모두 가능합니다.

 

조회해보면 개별공시지가와 기준일자,

그리고 공시일자를 모두 확인 가능합니다.

만약 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다면

공시일자로부터 30일 이내에 국토교통부에 서면으로 이의신청을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공시지가 결정 기준일은

매년 5~6입니다. 







고배당주식 높은 순서대로 확인하기

 

올해부터 국내증시에는

국민연금을 필두로

스튜어드십 코드 (Stewardship code)

도입된다고 합니다.

 



스튜어드십 코드란,

투자자들의 자금을 운용해주는 기관투자자들이

수탁자로서 주주들의 권익보호를 위해

힘써야 한다는 일종의 행동강령이지요.



주주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

의결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고

배당금을 늘리거나 자사주매입을 주장하는 등

이익이 주주에게 환원되도록 힘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각 기업의 배당정책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습니다.

고배당주식은 어떤 것들이 있고

얼마나 지급하는지 확인해볼까요?


'증권정보포털' 사이트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seibro.or.kr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배당주식을 순서대로 확인하려고 하니

배당정보를 바로 확인 가능한 페이지를

링크해두었습니다.

고배당주 높은 순서대로 확인하기


2016년 배당수익률에 대해

시가 배당률 순위대로 정렬된 상태입니다.





작년 배당수익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S-oil 우선주였군요.
선박펀드등을 제외하면
천일고속, 대신증권1우 등이 뒤를 잇습니다.

(s-oil 우선주 시가배당률에는 약간 오류가...)


선박펀드나 리츠펀드 등도

시가배당률 상위 종목들에 속합니다.

하지만 선박펀드 등은

청산해버리는 경우도 있으니

배당률만 믿고 매수하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증권정보포털 사이트를 이용하면

다양한 배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배당내역 전체검색' 칸을 이용하면

최근에 지급된 배당에 대해

일괄적으로 전체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채권, 펀드, ETF 등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이니

투자자라면 꼭 즐겨찾기를 해두도록 하세요.






+ Recent posts